[스크랩] 그래도 나는 쓴다(뾰루봉~화야산~고동산 종주기)
뾰루봉 ~ 화야산 ~ 고동산 종주기
◎ 위 치 :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가평군 설악면
◎ 일 시 : 2005. 10. 9.(일) 08:30 서울 출발
◎ 가고오는길 : 서울 - 구리 - 마석 - 청평 - 신청평대교 - 뾰루봉 매점 - 삼회리 - 사기막골(왕) - 서종 - 양수리 - 시우리- 덕소 - 서울(복)
- 10:00 : 뾰루봉 매점 앞 산행 출발
- 11:13 : 뾰루봉(709.7m) 정상 - 12분 휴식 및 간식
- 13:05 : 화야봉 400m 전 안부 2진 만나서 점심 식사(45분)
- 13:55 : 화야봉(754.9m) 정상 - 5분 휴식
- 15:00 : 고동산(600m) 정상 - 30분간 휴식 및 간식
- 16:15 : 사기막골 하산 완료
◎산행후기
올 가을 종주시리즈 2탄으로 준비한 뾰루봉~화야산~고동산 종주를 계획하고 동참자를 구하니 로부제와 강경선이 흔쾌히 승낙한다.
경춘선 기차를 이용하고자 3일 전 열차표를 예매하려 하니 이미 매진이란다.
그래~~ 입석이면 어떠랴~~ 겨우 1 시간인걸...
회원들과 청량리역 시계탑(지금도 있나?)에서 아침 8시에 만나기로 약속하고 토욜 불암산 산행을 하는데 최창현으로부터 전화가 온다.
자신의 차로 같이 가자고 하며 추가로 같이 갈 회원을 확인하니 알핀, 당나순, 안정숙 등이 동참한다며 그러나 산행은 종주는 안 되니 화야산 만을 산행토록하고 합류하기로 하였다.
일욜 아침 하계역에서 창현의 차를 만나니 확정된 인원은 본인(히말라야), 최창현과 안정숙, 로부제, 강경선과 와이프 앤드 2마리 강아지(동훈, 수림 미안~~~)들이다.
8시 30분에 하계역을 출발하여 경춘국도를 이용 화도 휴게소를 경유하여 신청평대교를 건너니 좌측으로 뾰루봉 산행의 기점이 되는 뾰루봉 매점에 당도한다(09:55)
2진과 헤어져서 신발 끈을 동여매고 심호흡 한번하고 10시 정각에 첫 번째 목표 오름인 뾰루봉을 향하여 출발...
어젯밤 읽어본 산행기에 뾰루봉까지 급경사의 오르막길인 것을 아는 나로서는 초장부터 스틱 2자루를 펼치며 만반의 대비를 한다.
그렇게 높은 산은 아니지만 시작부터 급경사가 이어지니 제법 힘이 든다.
아기괴물이 조금 걱정이 되어 스틱 한 자루를 넘겨주고 조심스레(?) 살펴보니 바로 뒤에서 따라 붙는 것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약 30분 정도를 숨을 헐떡이며 무명의 봉우리에 오르니 신 청평대교를 중심으로 서울의 젖줄인 북한강이 도도히 흐르는 모습이 조망된다.
잠시 호흡을 가르고 뾰루봉을 바라보며 꾸준한 발걸음을 계속한다.
제법 험한 등산로를 따르는데 등산로는 엊그제 비가 왔는지 제법 촉촉하게 젖어 있어 걷기에 너무 좋다.
맑고 시원하고 상큼하고 청량한 숲속의 공기가 더 없이 맛이 좋다.
한껏 심호흡을 하며 경사가 급한 등산로와 씨름을 하다보니 뾰루봉 정상에 당도한다.
휴식과 간식을 위하여 잠시 쉬고 있으려니 서늘해 지는 것이 계절의 변화가 무서움을 느끼며, 윈드 자켓을 챙겨 입는다.
로부제가 준비한 도너츠와 게맛살로 간식을 하고 이제 두 번째 목표 봉우리인 화야산을 향하여 발걸음을 재촉한다.(11:25)
약5분을 내려갔을까?? 내리막길이 약간 이상한 느낌이 들어 되 집어 올라와 확인해보니 길을 잘못 든 것이다.
그래도 약 5분간의 알바로 끝났으니 이 얼마나 다행이었는가?
뾰루~고동 간 종주 길은 능선 상으로 계속 이어지는 산길로서 북한강을 따라 뻗어 내려가는 산인데도 능선 상에 숲이 우거져서 기대와는 달리 우리에제 전혀 조망권을 주지 않는다.
어차피 미리 산행기를 읽고 왔었기에 크게 기대는 하지 않았던 터였다.
뾰루봉과 화야산의 중간 쯤 되는 큰골 안부에 다다르는데 전화벨이 울린다.
최창현이 화야산 밑 안부에 도착했다는 전화였다.
정상에서 점심 식사를 같이하게 기다리라고 통화한 후 부지런히 걷는데 땡볕에서 기다리기 안 좋으니 그냥 안부로 내려오겠단다.
바쁜 걸음으로 오름 짓을 재촉하다보니 화야산 정상 바로 밑 400m되는 지점에서 2진을 만난다.
자리를 펼쳐 배낭을 풀고 식단을 차리니 제법 진수성찬이다.
밥과 김밥, 김치도 총각김치와 배추김치, 쳔육, 두부, 도라지 무침, 고추쥐포조림, 김 등 푸짐한 반찬에 막걸리 한잔을 반주한다.
식사를 마치고 2진과 헤어져 조금 걸으니 곧바로 화야산 정상이다.(13:55)
돌아가며 증명사진을 찍고 14:00 정각에 고동산을 향해 출발한다.
어제의 산행기를 읽어 보았을 때 고동산 정상이 헷갈리고, 등산로를 제대로 잡지 못하여 헤매는 등 실망스런 산행기를 접했었기에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하게 길을 확인하며 나아갔다.
중간 중간 사기막으로 내려가는 등산로가 나타난다.
591m 높이인 핼기장에 도착하니, 이곳이 예전에 고동산 정상으로 착각 했던 지점인 것만 같았다.
사진으로 꾸며진 산행기에서 고동산 정상에 정상석이 2개 있는 것을 보았으니 이곳이 고동산 정상이 아닌 것은 분명하였기에 계속 진행을 해본다.
앞에 보이는 봉우리가 고동산으로 보임에 따라 좀 더 힘을 내니 15:00 정각에 고동산 정상에 올라선다.
1992년에 만들어진 지도를 보니 591m 높이의 헬기장을 정상으로 표시해 놓았으며 고동산에서 사기막으로 내려가는 길이 표시가 되어 있지 않다.
정상에는 591m와 600m의 각기 높이가 다르게 표시된 정상석이 2개가 있는데, 아마도 예전 591m 높이의 헬기장을 고동산으로 알고 가져다 놓았던 정상석이 이리로 옮겨와서 그런 것 같다.
삶은 계란과 배 한 개를 안주삼아 막걸리를 한 병 마시고 정상 증명사진 촬영을 한 후 사기막골 하산 길을 찾으니 바로 옆에 흔적이 보인다.
고동산 정상을 출발(15:30)하여 사기막골로 가는 길은 뾰루봉 오름길과 매 한가지다.
상당히 급한 경사로 이어지니 곳곳에 줄이 매어져 있다.
조심하면서 사기막골로 내려가며 간간히 시야가 트이면 북한강의 경치를 감상하다 보니 어느새 하산이 완료되는 것 같다.
2진에 전화하여 우리의 하산을 알리고 16:15에 임도로 내려서니 총 산행시간 6시간 15분이 소요되어 종주를 마친다.
사실 조금은 염려했던 아기괴물이 전혀 뒤처짐 없이 따라와 준 것이 너무 고마웠고, 맛있는 간식거리를 충분히 준비해서 우리의 산행에 큰 도움을 준 로부제도 역시 고마웠다.
오늘 산행을 하면서 10년 후에도 내가 이렇게 로부제와 아기괴물 또는 김채현 등 산악회원들과 같이 산행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았다.
아니 20년 후는?????
10년만 흘러도 로부제 등이 같이 산행을 해줄까? 생각하니 흐르는 세월이 너무도 야속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