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산행계획

대만 남호대산

히말라야2 2008. 11. 14. 11:05

 

<<<이글은 2008년 "KBS영상앨범 산"에 출연하기 위해 작성 했던 계획서 입니다>>> 


2008 해외원정 계획


남호대산 (南湖大山)

(2008.4.16. ~ 4.20.)


용두팔산악회

(용산고등학교 28회)






2008년 용두팔산악회

臺灣  南湖大山 遠征計劃






Ⅰ. 원 정 개 요

Ⅱ. 운행일정 및 계획

Ⅲ. 장 비 계 획

Ⅳ. 식 량 계 획

Ⅴ. 원 정 예 산

Ⅵ. 대만 남호대산 소개










Ⅰ. 원정개요


   1) 원정대명 :  2008 용두팔 산악회 남호대산 원정대

   2) 원정대상 : 남호대산 (3,742m, 대만, 이란현)

   3) 원정기간 : 2008년 4월 16일 ~ 20일 (4박 5일)

   4) 원정목적 : 졸업 31주년을 맞으며 다시 시작하는 계기 부여

                고소적응과 향후 히말라야 등 고산등반 가능성 확인

                고산등반 기술의 향상

                용두팔 산악회의 활성화에 이바지

   5) 원정방식 : 알파인 스타일 등반

   6) 원정대원 :

직 책

성 명

직  업

산행경력

단 장

김성권

 나래골드 대표

 합바설산 등정(2006)

원정대장

임순만

 공무원

 매킨리(미) 등반(2006)

 엘브루즈(러)등정(2005)

 북알프스 종주(일본) 4회

네팔 히말라야 메라피크 등

 히말라야 원정 5회

 합바설산, 반지설산 등정

원 정

부대장

송봉환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교직원

 백두대간 단독 종주

 한강기맥 종주

 합바설산 등정(2006)

 반지설산 등정(2007)

재 무

이제만

 건하테크 대표

 합바설산 등정(2006)

기록 및

사진

이장원

 대한콜크 대표

 

의 료

이성규

 홍익한의원 원장

 반지설산 등정(2006)

장 비

강석용

 늑대와여우컴퓨터 대표

 

통 역

송재혁

 세화섬유 대표

 


      ※ 합바설산(5,396m, 중국 윈난성),  반지설산(5,430m, 중국 스촨성)


Ⅱ. 운행 일정 및 계획

4/16(수)

인천

타이페이

 

이란


CX421
전용차량

07:00
09:15
11:00

22:00

인천공항 3층 카운터 집결
인천공항 출발
타이페이 도원국제공항 도착 중식
야류 관광 및 이란으로 향발
이란 옥관촌 도착 후 숙박


중:현지식
석:현지식

산장 혹은 민박 (다인실)

4/17

(목)

남호대산

등산

04:00
전일

16:30

기상 후, 사원아구(1,920m)으로 이동
710임도(6.7K, 2,275m)-남호등산구-다가둔산(2,795m)-운능산장(2,500m,산행중 조식) - 심마진등산구 - 심마진산(3,141m)왕복 - 심마진산장 도착


조:도시락
중:취사식
석:취사식

심마진산장

4/18

(금)

남호대산

등산

03:00
전일


18:00

조식 후 출발
남호북산(3,536m)-오암연봉-남호북봉-남호산장-주봉,남봉삼거리-남호대산(3,742m)-주봉,남봉삼거리-남호산장(3,400m중식)-남호북봉-오암연봉-남호북산-심마진산장 도착


조:취사식
중:행동식
석:취사식

심마진산장

4/19(토)

남호대산

 

이란

타이페이

등산

 

전용차량

06:00
15:50


22:00

심마진산장(조식)후 출발 하산시작
남호등산구(중식)-임도-사원아구

(산행종료)
이란 도착 온천욕
석식 후 타이페이로 이동 및 숙박


조:취사식
중:행동식
석:현지식

육복객잔(六福客棧-LooFoo Hotel)  또는 동급

4/20(일)

타이페이

 

인천

전용차량

08:00


17:10
20:40

조식 후
국립야류해상공원(여왕바위등) 및

양명산 국가공원 화산지대 관광
도원국제공항 출발
인천국제공항 도착 후 해산

 

Ⅲ. 장비계획

구   분

품  목

수 량

비         고

공동

장비

코    펠

2 조

임순만, 송봉환 준비

가스버너

2 개

임순만, 송봉환 준비

카 고 백

1 개

임순만 준비, 공동장비 운송 및 데포용

휘발류버너

1 개

임순만 준비

연  료

3

EPI가스 3개(동계용), 화이트가솔린2개 - 현지

개인

장비

아 이 젠

1 조

워킹용

트레킹화

1 켤레

중등산화(등반용) / 운동화(여행용)

헤드랜턴

1 개

밧데리 포함(예비 건전지)

배    낭

1 개

(60리터 이상)

고    글

1 개

 

스키스틱

1 조

 

아 이 젠

1 조

 

스 패 츠

1 조

얇고 가벼운 것

개인

의류

방 수 복

1 벌

 고어텍스 방수 방풍복을 권장함

등 산 복

1 벌

 겨울용 상하

긴 바 지

2 장

 입고 가는 것 포함(겨울용1, 가을용1)

우 모 복

1

 상의 / 파일자켓 가능

방 한 모

1 개

 귀를 덮을 수 있는 것

장    갑

2 켤레

 파일 장갑 등

긴 팔 티

2 장

 파일 티셔츠 등

양    말

5 켤레

 등반용 3켤레, 여행용 2켤레

모    자

1 개

 차양 넓은 모자

침구류

침    낭

1 개

 겨울용(1,000g)

매트리스

1 개

 

기  타

시에라컵

1 개

 수저세트 포함

세 면 구

 

 수건, 비누, 치솔, 치약,

기 록 구

 

 카메라, 필름, 수첩, 펜, 기타

산악회기

2 개

 프랑카드 포함

식  량

등 반 식

 

 공동 준비 - 6식

기타기호품

 

 약간

간    식

 

 등반 중 먹을 수 있는 간식과 행동식

밑 반 찬

약 간

 개인취향에 따라 1~2가지 준비

의약품

개인 상비약

 

 기본적인 개인 상비약

썬(립)크림

 

 


Ⅳ. 식 량 계 획

1. 일정별 식사 메뉴

일 자

운 행 일 정

조 식

중 식

석 식

4.16(수)

 인천-타이페이-이란

 

현지식

현지식

4.17.(목)

     남 호 대 산

    (심마진 산장)

현지식

(도시락)

라면+햇반

삼겹살

김치찌개

4.18.(금)

     남 호 대 산

    (심마진 산장)

북어+미역국

떡라면

김치찌게

4.19.(토)

남호대산-이란-타이페이

해장국

떡라면

현지식

4.20.(일)

   타이페이-인천

호텔식

현지식

기내식


2. 식량구입 세부명세표

구 분

품 목

수 량

비 고

주  식

8 Kg

 8인X250gX4식

라  면

20 봉

 3식(4봉, 8봉, 8봉)

4 Kg

 2식(2Kg X 2)

부  식

김  치

2 포기

 찌개 2회 및 반찬

돼지고기

2.4 Kg

 현지구입

젓  갈

3가지, 약간

 오징어젓, 조개젓, 명란젓

2 봉지(대)

 

건조북어국

2 봉

 북어미역국 사용

건조미역국

3 봉

 북어미역국 사용

건조해장국

5 봉

 해장국 1회 사용

양 념 류

소  금

1 봉

 맛소금

감치미

4 봉

 김치찌개 용

마늘가루

약  간

 

고추장

1 Kg

 

간식, 기호식

건과일

2가지 약간

 건살구, 건파인애플

약  과

40 개

 8인 X 5개

자유시간

24 개

 8인 X 3개

양  갱

24 개

 8인 X 3개

초코렛

2 봉

 운행 중 약간씩

오징어채

1 봉

 야영 중 간식

약  간

 현지구입

커  피

32 봉

 8인 X 1봉 X 4회

생강차

16 봉

 8인 X 1봉 X 2회


Ⅴ. 원정 예산

    1인/100만원 X 8명 = 8,000,000원

Ⅵ. 대만 남호대산(南湖大山, 3,742m) 소개

   1. 위치

       남호대산은 대만의 중앙을 길게 양분하는 중앙산맥(中央山脈)의 산군중이 하나이며 대만 5악(①옥산:3,997m,

       ②설산:3,931m, ③남호대산:3,797m, ④대패첨산:3,570m, ⑤대무산:3,090m)의 하나로 최북단 최고봉이다.


   2. 일반사항

       가. 남호대산은 남호북봉(南湖北峰, 3,536m), 남호남봉(南湖南峰, ), 남호동봉(南湖東峰, 3,637m), 파파산(巴巴山,

            3,449m), 마비삼산(馬比杉山, 3,211m), 심마진산(審馬陣山3,141m), 중앙첨산(中央尖山, 3,412m) 등 대만의

            백악 중 8좌의 3,000m 이상의 산을 품고 있는 태노국가공원(太魯閣國家公園)에 속해 있는 주봉(主峰)이다.


       나. 남호대산은 대만의 다른 산에 비하여 출중한 경관을 연출하여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는 산이다.  옥산에 비해

            우리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만에서 사용되는 지폐(대만삐 2,000원권)에 인쇄가 될 정도로 국민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산이다.


       다. 남호대산은 빙천(冰川), 석해(石海), 빙모(冰帽), 양배석(羊背石), U형 권곡(圈谷), 빙하퇴적물등 정상부에 1933년

            일본인(富田芳郎)에 의하여 발견된 1기 빙하유적이 있고(축구장 6개 크기), 정상은 광활하며 특징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라. 남호대산에는 132종의 조류, 20종의  포유류, 2종의 양서류, 3종의 파충류가 서식하고 있어 빙하 유적과 함께

            국가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관리되고 있다.


       마. 대만의 지형적인 특징으로 중앙산맥 동쪽의 다습한 기후와 서쪽 찬공기가 마주치며 자주 발생하는 안개로 인한

            운해와 남호대산의 능선에서 주위 고산연봉들이 연출하는 자연 풍광은 많은 사진작가들의 작품으로 탄생할

            정도로 빼어난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3. 등반

       가. 대만은 태풍의 주요 길목에 위치하고, 다습한 기후를 보인다. 그런 이유로 5-6월은 태풍이 자주 지나가고 우기여서

            기후가 좋지 못하다. 우리가 계획하고 있는 4월은 대만 날씨로는 제일 좋은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훌륭한 자연경관

            과 고산의 멋을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나. 그때 대만 북부 평지의 3,4월 평균 기온 15-6도로서 춥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대만에서 오랜 기간 생활한 사람의

           말에 의하면 우리보다 위도가 아래쪽이기 때문에 따뜻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습도가 높기 때문에 매우 서늘함

           을 느낀다고 한다. 더구나 우리가 가야할 남호대산의 3,000m이상의 능선은 자료에 의하면 그 시기에 4-5도 이하이며,

           해가지면 영하로 내려가기 때문에 추위와 강한 바람, 그리고 짙은 안개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여야 할 것 같다.


     다. 하루의 입산허가를 80명으로 제한하고 있는 산이며, 이번 산행은 포터나 쿡 등의 도움을 받지 않는 산행인 관계로

          자신이 중량을 감당하여야 한다. 3,000m 이상의 고지에서 산행장비와 식량 등을 팩킹한 25kg 안팎의 중량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강한 체력이 요구되며 팀웍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요소요소에 산장(운릉산장, 심마진산장, 남호산장,

          중앙첨탑산장, 등)이 있으나 모두 무인산장이다.


4. 남호대산 관련사이트

http://www.pse100i.idv.tw/e/nafwtysn/nafwtysn001.htm : 사진

http://blog.xuite.net/blue.joe/joe/3424576

http://www.wretch.cc/album/album.php?id=groundo&book=4&page=2 : 사진

http://www.pbase.com/jessielee920524/920524 : 사진


5. 남호대산이 인쇄된 대만지폐 (南湖大山出現於下列錢鈔)



6. 참고 :

   대만의 일반사항  (출처: 브리테니커 백과사전의 내용을 요약하였음)

   공식명칭 :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

   인구 : 22,815,000

   면적 : 36,188㎢

   수도 : 타이베이

   정체·의회형태 : 공화제, 다당제, 단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총통/행정원장

   공식 언어 : 중국어

   독립년월일 : 1945. 10. 25

   화폐단위 : 신타이완 달러(New Taiwan dollar/NT$)

   국가(國歌) : San Min Chu-I


   중국 본토의 남동 해안에서 160km 떨어진 곳에 있는 섬.

    



가. 개요

    중화민국(Republic fo China) 또는 타이완 국민정부가 통치하고 있는데, 그들은 중국 본토 전체에 대한 관할권도 주장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이 섬은 타이완 지역 혹은 타이완 지구가 된다. 반면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역시 타이완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하고 있다. 두 정부 모두 타이완이 중국의 1개 성(省)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타이완 섬은 태평양상의 북회

    귀선에 걸쳐 있다. 1949년 이래 타이베이[臺北]는 국민정부에 의해 임시수도로 지정되었다. 성도(省都)는 중싱신춘[中興

    新村]이다. 남북길이 약 395km, 동서길이 약 145km에 이르며, 북쪽은 동중국해, 동쪽은 태평양, 남쪽은 바시 해협, 서쪽은

    타이완(포르모사) 해협과 맞닿아 있다. 면적 36,188㎢, 인구 22,815,000(2006 추계).

나. 자연환경

    1) 타이완 전체 지역의 약 2/3가 산지와 구릉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2)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면서 지형적으로 5개의 주요지역이 나온다.

        ① 험난하고 가파른 타이둥 산맥[臺東山脈]

        ② 길고 좁다란 타이둥 지구대

        ③ 중양산계

           - 중양 산맥[中央山脈] (남호대산은 이 산맥의 최북단 최고봉이다.)

           - 위산 산맥[玉山脈]

           - 아리 산맥[阿里山脈]

        ④ 구릉이 매우 많은 광대한 지대

        ⑤ 마지막으로 인구가 조밀한 서부 해안평야 및 분지


    3) 분지로는

       ① 남쪽에 핑둥[屛東] 분지

       ② 중서부쪽에 타이중[臺中] 분지

       ③ 북쪽에 타이베이 분지

       ④ 북동쪽에 이란[宜蘭] 분지

           (남호대산은 대북시로부터 이 분지를 경유하여 접근한다.)


다. 타이완의 기후

   1) 북쪽은 아열대, 남쪽은 열대.

   2) 겨울철(10∼3월) 월평균기온은 약15℃이며, 여름철(6∼9월)에는 30℃ 정

   3) 연평균강수량은 2,590㎜

      - 서부 해안이 1,270㎜ 인데 비해 산맥의 경사면에는 6,350㎜이상

      - 1년에 보통 3, 4차례 불어 닥치는 열대 태풍은 7∼9월에 집중된다.


라. 자연식물

   1) 고도에 따라 5개 지대로 나뉜다.

      - 해발 90m 이하   : 조수에 의한 홍수림.

      - 600m이하        : 대나무와 종려나무가 혼합된 열대성상록수림.

      - 600∼1,800m    : 장뇌·월계수 같은 아열대성상록수림,

      - 1,800∼2,400m : 히말라야삼나무·삼나무·노간주나무·철쭉·단풍나무 같은 활엽상록수림.

      - 2,400m 이상    : 침엽수림


마. 야생동물 : 포유류(63종), 조류(445종), 파충류(80종), 양서류(31종), 곤충

바. 광물자원 : 비교적 적은 편으로, 대리석·석회석 및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는 석탄, 석유, 천연 가스 등

사. 국민 : 한족-98% (그중 14%는 본토에서 이주), 원주민(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계)

아. 언어 : 중국어 및 중국어의 타이완 방언

자. 종교 : 불교·도교·유교, 기독교(주민의 7.4%)

차. 경제 : 제조업·국제무역·서비스업에 기초한 시장경제 발달

카. 정치 : 내각제와 총통 체계를 병행

타 문화 : 중국 문화가 우세하고 원주민 문화가 일부가 있다.

파 한국과의 관계 :

    1948년 8월 13일 한국은 타이완과 단독수교를 맺고 상호 상주공관을 설치했다. 양국은 항공협정(1952.3)·무역협정(1961.3)·

     문화협정(1965.5)·해운협정(1983.9)·항공운수협정(1986. 11) 등을 체결하여 관계를 긴밀히 유지해왔다.

    1971년 중국이 국제연합(UN)에 가입하자 국민정부는 탈퇴했으며,

    1972년 일본의 중국 승인으로 대일외교관계가 단절되었다.

    1979년 중미상호방위조약이 미국과 중국의 수교로 파기되었다.

    1990년 한국은 타이완과 아시아의 유일 수교국가가 됨.

    1992년 8월 한국이 중국과 정식으로 수교함으로써 타이완과 한국의 외교관계 단절.

    현재 한국과의 관계는 대표부를 설치하는 등 새로운 경제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있음.

'나의산행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 산행 계획  (0) 2008.12.18
[스크랩] 산림청의 100대명산 선정 사유  (0) 2008.12.09
대만 옥산  (0) 2008.11.14
(용두팔 산행)영남알프스 종주 계획  (0) 2008.09.24
산행 계획(9~12월)  (0) 2008.09.19